언론보도
- 홈
- 열린광장
- 언론보도
2010년 07월 21일자 서울신문 기사
‘시간의 마술사’ 코젤렉의 개념사 역작 나왔다
‘시간의 마술사’ 혹은 ‘개념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독일 역사학 자 라인하르트 코젤렉(1923~2006)의 역작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푸른역사 펴냄) 가운데 다섯 권이 처음으로 국내 번역되 어 나왔다. 2005년 개념사 연구 개시를 선언하고, 2007년 ‘동아시아 기본개념사 연구’에 본격 착수한 한림대 한림과학원(원 장 김용구)의 작품이다.
책의 원제는 ‘역사적 기본개념, 독일 정치·사회 언어 역사사전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Historisches Lexikon zur politisch- sozialen Sprache in Deutschland)’. 1972년 동료 학자들과 편찬작업에 들어가 1997년까지 25년 동 안 모두 8권, 7000쪽이 넘는 분량으로 내놓은 결과물이다. 모두 119개의 기본 개념을 다뤘으나 이번에는 ‘문명과 문 화’, ‘진보’, ‘제국주의’, ‘전쟁’, ‘평화’ 5개 개념만 골라 우선 번역했다.
코젤렉의 기본 아이디어는 “역 사는 보고하고, 문학은 창작한다.”(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의 전통적 관념이 근대 들어와 뒤집어졌다는 데 있다. 원래 역사란 과거 에 있었던 단편적인 사실을 나열하는 데 그치는 것이다. 그런데 근대 들어 사람들은 역사에다가 내적인 통일성, 논리적 일관성 같 은 문학적 특성을 덧씌우면서 도도한 역사주의 물결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일직선상으로 나아가는 인류의 진보라는 거대한 시간관념 은 이런 역사주의의 산물이다.
코젤렉은 대략 1750~1850년 즈음을 이런 개념상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로 보고, 이때를 ‘문턱의 시대’ 혹은 ‘말안장의 시대’라 불렀다.
따 라서 개념사 작업은 이 시점을 전후해 문명·문화·진보·제국주의 같은 단어와 그 뜻이 어떻게 생겨나고 변했는지, 사회적 역사적 배경 까지 버무려 추적하는 작업이다. 단어를 볼 때 단어 뒤에 숨어 있는 힘의 역학관계까지 살펴보자는 것이다. 이런 독특한 연구방식 은 학계의 큰 관심을 모았고, 유럽연합 차원의 ‘유럽정치사전’ 프로젝트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념사 작업이 관심을 끈 것은 인문사회학의 기본 개념 자체가 불명확하다는 현실 때문이다.
예 컨대 아직도 우리 관공서는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는 작업을 ‘민원(民願)실’에 맡겨두고 있다. 세금 받는 국가가 당연히 제공해 야 하는 서비스를, 마치 백성들이 원하니 선심을 베풀 듯 들어준다는 뉘앙스를 풍기는 곳에서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서 ‘서구에서 발생한 시민으로서 권리와 의무 개념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소통되고 있는가.’라는 것은 좋은 개념사적 질문인 셈이다.
한 림과학원은 ‘만국공법’, ‘국가·주권’, ‘헌법’, ‘ 국민·인민·시민’, ‘민족·민족주의’ 등 한국 개념사 총서를 이미 내놓았 다. 10년 동안 80권을 내는 것이 목표다. 동시에 한국의 개념과 중국·일본의 개념을 비교하는 동아시아 기본개념사 연구 작업 도 진행 중이다.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고지현 한림대 HK연구교수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각종 개념들은 식민지 경 험 때문에 몹시 단절적인 데다, 직접 생산한 것이 아니라 서구의 것을 수입한, 그마저도 일본 등 주변 국가를 경유해 받아들인 것이 어서 대단히 복잡하고 중의적”이라면서 “때문에 개념의 생성과 변화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해둬야 인문학의 기초가 튼튼해질 것”이라 고 힘주어 말했다.
코젤렉의 119가지 개념 가운데 5가지 개념만 우선 번역한 것도 한국에 영향을 끼친 기본 개념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것만 고른 것이다. 한국의 개념사 연구에 참고하라는 의미다.
조태성기자
‘시간의 마술사’ 혹은 ‘개념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독일 역사학 자 라인하르트 코젤렉(1923~2006)의 역작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푸른역사 펴냄) 가운데 다섯 권이 처음으로 국내 번역되 어 나왔다. 2005년 개념사 연구 개시를 선언하고, 2007년 ‘동아시아 기본개념사 연구’에 본격 착수한 한림대 한림과학원(원 장 김용구)의 작품이다.
책의 원제는 ‘역사적 기본개념, 독일 정치·사회 언어 역사사전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Historisches Lexikon zur politisch- sozialen Sprache in Deutschland)’. 1972년 동료 학자들과 편찬작업에 들어가 1997년까지 25년 동 안 모두 8권, 7000쪽이 넘는 분량으로 내놓은 결과물이다. 모두 119개의 기본 개념을 다뤘으나 이번에는 ‘문명과 문 화’, ‘진보’, ‘제국주의’, ‘전쟁’, ‘평화’ 5개 개념만 골라 우선 번역했다.
코젤렉의 기본 아이디어는 “역 사는 보고하고, 문학은 창작한다.”(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의 전통적 관념이 근대 들어와 뒤집어졌다는 데 있다. 원래 역사란 과거 에 있었던 단편적인 사실을 나열하는 데 그치는 것이다. 그런데 근대 들어 사람들은 역사에다가 내적인 통일성, 논리적 일관성 같 은 문학적 특성을 덧씌우면서 도도한 역사주의 물결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일직선상으로 나아가는 인류의 진보라는 거대한 시간관념 은 이런 역사주의의 산물이다.
코젤렉은 대략 1750~1850년 즈음을 이런 개념상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로 보고, 이때를 ‘문턱의 시대’ 혹은 ‘말안장의 시대’라 불렀다.
따 라서 개념사 작업은 이 시점을 전후해 문명·문화·진보·제국주의 같은 단어와 그 뜻이 어떻게 생겨나고 변했는지, 사회적 역사적 배경 까지 버무려 추적하는 작업이다. 단어를 볼 때 단어 뒤에 숨어 있는 힘의 역학관계까지 살펴보자는 것이다. 이런 독특한 연구방식 은 학계의 큰 관심을 모았고, 유럽연합 차원의 ‘유럽정치사전’ 프로젝트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념사 작업이 관심을 끈 것은 인문사회학의 기본 개념 자체가 불명확하다는 현실 때문이다.
예 컨대 아직도 우리 관공서는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는 작업을 ‘민원(民願)실’에 맡겨두고 있다. 세금 받는 국가가 당연히 제공해 야 하는 서비스를, 마치 백성들이 원하니 선심을 베풀 듯 들어준다는 뉘앙스를 풍기는 곳에서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서 ‘서구에서 발생한 시민으로서 권리와 의무 개념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소통되고 있는가.’라는 것은 좋은 개념사적 질문인 셈이다.
한 림과학원은 ‘만국공법’, ‘국가·주권’, ‘헌법’, ‘ 국민·인민·시민’, ‘민족·민족주의’ 등 한국 개념사 총서를 이미 내놓았 다. 10년 동안 80권을 내는 것이 목표다. 동시에 한국의 개념과 중국·일본의 개념을 비교하는 동아시아 기본개념사 연구 작업 도 진행 중이다.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고지현 한림대 HK연구교수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각종 개념들은 식민지 경 험 때문에 몹시 단절적인 데다, 직접 생산한 것이 아니라 서구의 것을 수입한, 그마저도 일본 등 주변 국가를 경유해 받아들인 것이 어서 대단히 복잡하고 중의적”이라면서 “때문에 개념의 생성과 변화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해둬야 인문학의 기초가 튼튼해질 것”이라 고 힘주어 말했다.
코젤렉의 119가지 개념 가운데 5가지 개념만 우선 번역한 것도 한국에 영향을 끼친 기본 개념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것만 고른 것이다. 한국의 개념사 연구에 참고하라는 의미다.
조태성기자
- 20100721서울신문.pdf (1MB) (2)
812개(28/41페이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272 |
2015년 07년 15일자 코리아뉴스와이어 기사
![]() ![]() |
관리자 | 2015.11.30 12:46 | 3466 |
271 |
2015년 07월 15일자 CNBNEWS 기사
![]() ![]() |
관리자 | 2015.11.30 12:45 | 3310 |
270 |
2015년 07월 15일자 연합뉴스 기사
![]() ![]() |
관리자 | 2015.11.30 12:44 | 3447 |
269 |
2015년 07월 15일자 대학저널 기사
![]() ![]() |
관리자 | 2015.11.30 12:43 | 3483 |
268 |
2015년 06월 19일자 한겨레신문 기사
![]() ![]() |
관리자 | 2015.11.30 12:42 | 3555 |
267 |
2015년 05월 29일자 한겨레 기사
![]() ![]() |
관리자 | 2015.07.01 14:15 | 3725 |
266 |
2015년 05월 20일자 강원일보 기사
![]() ![]() |
관리자 | 2015.07.01 14:14 | 3263 |
265 |
2015년 05월 19일자 대학저널 기사
![]() ![]() |
관리자 | 2015.07.01 14:14 | 3319 |
264 |
2015년 05월 18일자 연합뉴스 기사
![]() ![]() |
관리자 | 2015.07.01 14:13 | 3546 |
263 |
2015년 05월 15일자 한겨레 기사
![]() ![]() |
관리자 | 2015.07.01 14:12 | 3277 |
262 |
2015년 05월 08일자 한겨레 기사
![]() |
관리자 | 2015.05.14 00:00 | 3210 |
261 |
2015년 04월 24일자 한겨레 기사
![]() |
관리자 | 2015.05.14 00:00 | 3103 |
260 |
2015년 04월 13일자 프레시안 기사
![]() |
관리자 | 2015.04.14 00:00 | 3202 |
259 |
2015년 04월 10일자 한겨레 기사
![]() |
관리자 | 2015.04.14 00:00 | 3331 |
258 |
2015년 03월 27일자 한겨레 기사
![]() |
관리자 | 2015.04.14 00:00 | 3517 |
257 |
2015년 02월 12일자 아주경제 기사
![]() |
관리자 | 2015.02.17 00:00 | 3429 |
256 |
2015년 02월 12일자 news1 기사
![]() |
관리자 | 2015.02.17 00:00 | 3319 |
255 |
2015년 02월 12일자 파이낸셜뉴스 기사
![]() |
관리자 | 2015.02.17 00:00 | 3251 |
254 |
2015년 02월 12일자 대학저널 기사
![]() |
관리자 | 2015.02.17 00:00 | 3352 |
253 |
2015년 02월 12일자 일간스포츠 기사
![]() |
관리자 | 2015.02.17 00:00 | 33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