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홈
- 열린광장
- 공지사항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사업 학술발표회
초청의 말씀 >>
저희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에서는 동북아역사재단의 후원으로 2007년 10월부터 19세기(1864~1910) 한국의 외교문서집 편찬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첫 번째 연구 성과로 1866년부터 1871년 사이 한국이 이질문명권과 충돌한 이른바 병인, 신미양요의 5년간의 위기에 관해 두 책의 문서집을 금년에 출간하고자 합니다.
외교문서집은 일국의 대외관계의 역사적 현주소를 밝혀주는 사료입니다. 외교문서집의 부재는 곧 주변(周邊)과 오지(奧地)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외교 사료의 편찬은 국제정치의 주변성을 극복하는 지적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는 18세기 말 조선의 외교문서를 집대성하였던 『同文彙考』의 전통을 이어받아 세계열강들의 공식 외교문서집에 비견할 수 있는 외교문서집을 편찬할 계획입니다.
공사다망하실 줄 아오나 부디 참석해 주셔서 프랑스와 미국의 조선 침략을 다룬 외교문서집 발간에 관해 선생님의 고견을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2008년 11월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위원장 김 용 구
프로그램 >>
사회: 장인성(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14:00 ~ 14:10 개회사
『근대한국외교문서(1866-1910)』 편찬 사업의 의의 _ 김용구(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 외교사)
14:10 ~ 15:10 초빙강연
한국 가톨릭 관계 구문(歐文) 고문서 집성 사업 현황 _ 이원순(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국사학)
신미양요(辛未洋擾)와 수자기(帥字旗) _ 김원모(단국대학교 명예교수, 국사학)
15:10 ~ 15:30 휴식
15:30 ~ 16:40 주제발표
조선·이질문명권의 충돌(1866-1871)과 열강의 외교문서:
중국, 일본, 미국, 영국, 러시아 _ 김용구
1866년 프랑스의 조선 ’원정’과 프랑스 문서 _ 우철구(영남대학교 명예교수, 국제정치학)
1866-1871년 서구 열강의 침략 연구현황과 조선측 자료 _ 이상찬(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16:40 ~ 17:30 종합토론
저희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에서는 동북아역사재단의 후원으로 2007년 10월부터 19세기(1864~1910) 한국의 외교문서집 편찬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첫 번째 연구 성과로 1866년부터 1871년 사이 한국이 이질문명권과 충돌한 이른바 병인, 신미양요의 5년간의 위기에 관해 두 책의 문서집을 금년에 출간하고자 합니다.
외교문서집은 일국의 대외관계의 역사적 현주소를 밝혀주는 사료입니다. 외교문서집의 부재는 곧 주변(周邊)과 오지(奧地)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외교 사료의 편찬은 국제정치의 주변성을 극복하는 지적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는 18세기 말 조선의 외교문서를 집대성하였던 『同文彙考』의 전통을 이어받아 세계열강들의 공식 외교문서집에 비견할 수 있는 외교문서집을 편찬할 계획입니다.
공사다망하실 줄 아오나 부디 참석해 주셔서 프랑스와 미국의 조선 침략을 다룬 외교문서집 발간에 관해 선생님의 고견을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2008년 11월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위원장 김 용 구
프로그램 >>
사회: 장인성(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14:00 ~ 14:10 개회사
『근대한국외교문서(1866-1910)』 편찬 사업의 의의 _ 김용구(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 외교사)
14:10 ~ 15:10 초빙강연
한국 가톨릭 관계 구문(歐文) 고문서 집성 사업 현황 _ 이원순(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국사학)
신미양요(辛未洋擾)와 수자기(帥字旗) _ 김원모(단국대학교 명예교수, 국사학)
15:10 ~ 15:30 휴식
15:30 ~ 16:40 주제발표
조선·이질문명권의 충돌(1866-1871)과 열강의 외교문서:
중국, 일본, 미국, 영국, 러시아 _ 김용구
1866년 프랑스의 조선 ’원정’과 프랑스 문서 _ 우철구(영남대학교 명예교수, 국제정치학)
1866-1871년 서구 열강의 침략 연구현황과 조선측 자료 _ 이상찬(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16:40 ~ 17:30 종합토론
394개(37/39페이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 |
중국 저장사범대학 펑칭 교수 2022년 2학기 한림과학원에서 연구
![]() |
관리자 | 2022.10.12 12:40 | 3546 |
![]() |
송인재 교수 역서, '2022 세종도서' 학술도서 부문 선정
![]() ![]() |
관리자 | 2022.10.06 18:27 | 3902 |
![]() |
개념과 소통 KCI 2020 인문학 분야 인용지수 상위 랭크
![]() |
관리자 | 2021.10.12 19:27 | 6853 |
![]() |
한림과학원 발행 도서 '2020년도 세종도서' 선정
![]() |
관리자 | 2020.07.28 15:00 | 10885 |
![]() |
한림과학원 발행 도서 '2020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 |
관리자 | 2020.07.13 13:49 | 11308 |
![]() |
한림과학원 발간『개념과 소통』 2018 KCI인용지수 상위에 랭크
![]() |
관리자 | 2019.07.17 13:59 | 14388 |
![]() |
한림대 한림과학원 HK+ 지원사업 선정 | 관리자 | 2018.03.16 15:30 | 16433 |
![]() |
한림과학원 발간 학술지 <개념과 소통>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선정
![]() |
관리자 | 2015.07.08 15:30 | 20259 |
26 | "제1회 <번역 총서> 편찬 워크숍" 안내 | 관리자 | 2009.08.27 00:00 | 1982 |
25 | 제2회 심포지엄 <동아시아 개념충돌의 현장> | 관리자 | 2009.08.20 00:00 | 1948 |
24 | "제9회 <한국 개념사 총서> 편찬 워크숍" 안내 | 관리자 | 2009.08.05 00:00 | 1905 |
23 | '제15차 동아시아 개념소통 포럼' | 관리자 | 2009.07.30 00:00 | 1759 |
22 | 제14차 개념소통포럼 "문학 개념체계의 근대적 전환" | 관리자 | 2009.06.15 00:00 | 1697 |
21 | 원로교수 연속강좌 4회 "전후의 한일관계 - 1945년에서 오늘까지" | 관리자 | 2009.06.05 00:00 | 1818 |
20 | 원로교수 연속강좌 3회 "일본인의 아시아 인식 - 福澤諭吉과 柳宗悅의 경 | 관리자 | 2009.06.05 00:00 | 1789 |
19 | 원로교수 연속강좌 2회 " 임진왜란과 동북아시아" | 관리자 | 2009.05.29 00:00 | 1778 |
18 | 제215회 한림과학원 수요세미나 개최 | 관리자 | 2009.05.15 00:00 | 1886 |
17 | 원로교수 연속강좌 1회 " 동북아시아의 과거, 현재 미래" | 관리자 | 2009.05.11 00:00 | 18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