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개념소통 번역시리즈

  • 학술총서
  • 개념소통 번역시리즈
  • 개념소통 번역시리즈
  • 도서명 : 상징의 미학
    • 글꼴
    • 확대
    • 축소
    • 1.도서명 : 상징의 미학
    • 2.저자 : 오타베 다네히사
    • 3.출판사 : 돌베개
    • 4.발행일 : 2015.12.21
    •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아름다움'은 어떻게 느끼는가? 

     

     

    '상징'개념의 변용을 통해 탐사하는 

     

    미학과 감성의 역사

     

     

    이 책의 목표는 이 시기의 미학에서 상징이라는 개념이 차지하는 위치, 그리고 그것이 담당한 역할의 변화 및 다양성에 유의하면서 미학 그 자체의 변용 과정을 연속성과 비연속성의 측면에서 밝히는 것이다

     

     
    흉내 낼 수 없는 학문적 엄밀성, 세계적 수준의 스칼러십을 성취


    『상징의 미학』은 ‘상징’ 개념의 변용 양상을 분석하여 근대 미학의 형성 원리를 탐사하는 책이다. 독일 철학사에서 미학이 생성하고 분기하는 과정을 논증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작업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철학자나 이론가 한 사람을 다루는 데도 박사논문 한 편이 필요하다는 것이 옮긴이 이혜진의 전언이다. 저자 오타베 다네히사는 ‘상징’ 개념이 논의되는 방대한 철학 원전을 치밀하게 분석하여, ‘상징’ 개념이 학파나 이론가들 사이에서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니고 변용되었음을 논증한다. ‘상징’ 개념이 변용되는 역사적 맥락을 꿰뚫어 근대 미학사의 단층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로써 근대 미학이 단일하고 목적론적이지 않고 매우 다양하고 이질적인 담론이었음을 제기한다. 오타베 다네히사는 일본의 미학자로서,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등에 능숙한데, 이를 토대로 철학 원전들을 면밀하게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양 근대 미학사의 담론을 재구성한다. 그의 작업은 독일 등의 서구 학자들도 감히 흉내 낼 수 없는 학문적 엄밀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 수준의 스칼러십을 성취하고 있다.
    『상징의 미학』은 『예술의 역설』, 『예술의 조건』과 함께 저자의 근대 미학 3부작으로서, 일본에서는 가장 먼저 출간된 책이다. 한국에서는 세 책 모두 돌베개 출판사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일본 학자가 독일 학계도 하기 힘든 수준 높은 미학 연구를 시도하는 역사적 배경은?

    미학은 근대의 학문이다. ‘예술’이 근대에 형성된 개념이라는 점과 통한다. ‘예술’(art)은 ‘기술’(ars)에서 유래한 용어로서,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예술’은 원래 인간이 만들어낸 ‘기술’과 다르지 않았다. 근대 이전에는 지금과 같은 ‘예술’ 개념이 부재했던 것이다. ‘예술가’의 개념 등도 마찬가지다(오타베 다네히사, 『예술의 역설』). 마찬가지로 미와 예술의 원리를 다루는 학문인 미학은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분과이다. 미학은 18~19세기에 독일 철학에서 지성적이고 논리적 인식과는 다른 감성적 인식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 그런데 대학에서 미학이 학과로서 만들어진 곳은 미학의 탄생지인 독일이 아니라 일본이었다. 여기에는 일본이 독일 철학을 받아들이면서 미학과를 독일보다 먼저 창설했다는 일본의 서구 학문 수용사의 맥락이 놓여 있다. 일본인 미학자 오타베 다네히사가 미학이 탄생한 독일 학계에서도 하기 힘든, 미학사의 지층을 치밀하게 탐사할 수 있는 저력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상징’ 개념의 이해와 그 변용의 역사가 곧 근대 미학의 역사

    ‘미학’은 학문 명칭인 동시에, 흔히 예술성을 논할 때 상투적으로 쓰는 표현이기도 하다. 용법이 분명치 않은 만큼 정체가 모호하고, 학문으로서의 미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美學’은 한ㆍ중ㆍ일 동아시아 3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용어로서,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서 만들어져 전파되었다. 지금의 ‘미학’(aesthetics)이라는 용어는 바움가르텐이 『미학』(Aesthetica, 1750)에서 처음 썼다고 한다. ‘하위 인식 능력’ 또는 ‘감성’을 뜻하는 그리스어 αaἰσsθητtά(아이스테타)가 어원이므로, ‘미학’보다 ‘감성학’이 어원에 부합하고 미학이 다루는 범위를 적확하게 포괄하는 번역일지 모른다고 옮긴이는 말한다. 미학이 예술과 미의 본질뿐만 아니라, 아름다움이라는 인식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그리고 그러한 인식이 갖는 의의를 논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미학’은 논리적 인식이 아닌, 외부 대상에 대한 감성적 인식을 다룬다. 여기서 감성적 인식의 대상인 ‘상징’을 어떻게 해석하고 평가할 것이냐가 미학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했는데, 대개 ‘상징’은 논리적이고 분명하게 해명할 수 없지만 감성을 통해 ‘의미’를 생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 ‘상징’이 예술적이고 아름답다는 느낌을 불러일으킬 때 사람들은 ‘감동’을 받는다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이 감동은 이성적 논리로 환원할 수 없는 혼연한 영역을 남겨 놓는다. 철학은 감성의 영역을 설명하는 것이 기존의 철학적 논리와는 다르다는 결론에 도달하는데, 미학이 철학의 일부였다가 철학과 분기하는 과정이 바로 미학의 역사이다.
    이 책은 1735년부터 1835년까지 독일 철학계에서 미학이 생성하고 전개하는 양상을 ‘상징’ 개념의 이해와 그 변용 과정을 통해 접근한다. ‘상징’(象徵)은 미와 예술을 구성하는 기호 또는 상(像)을 가리키는데, 이 개념 이해의 변천이 곧 근대 미학의 형성과 궤를 같이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상징’의 개념사를 통해 미학사를 해체하고 재구축

    저자 오타베 다네히사의 역사 인식은 주목을 요한다. 통상 역사가 고대, 중세, 근대로 이행한다는 진보사관에 대한 문제의식이 바로 그것이다. 오타베 다네히사가 미학사의 네 단계로 구분한, 계몽주의 미학, 칸트 미학, 고전적 미학, 낭만적 미학은 시간적 연속성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비연속적인 단절과 영향관계가 공존하고 있다. 이 네 단계는 어느 것이 더 발전하거나 우월하다는 구분이 아니다. ‘상징’ 개념의 이해가 각 단계마다 어떻게 변화하고, 어느 지점에서 연속적이고 비연속적인지를 논증함으로써 미학사를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이 미학사가로서 오타베 다네히사의 탁월한 스칼러십이다. 저자의 방법론은 현대 역사학에서 제기된 개념사(conceptual histories)의 방법론과 통하는 면이 있는데, 저자는 라인하르트 코젤렉과 같은 개념사를 원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징’이라는 개념이 미학사의 각 단계에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를 연속성과 비연속성의 측면에서 조명한다는 점에서 개념사의 방법론을 모범적으로 성취한다. 미학사라는 거대한 성채를 ‘상징’ 개념으로 해체하고 재구축한다. 


    근대 미학의 형성과 변천의 역사적 지층을 탐사

    근대 미학의 첫째 단계는 ‘계몽주의 미학’이다. 계몽주의 미학에 속하는 바움가르텐이 ‘미학’(aesthetica, aesthetics)이라는 용어를 처음 제기하고, ‘상징’을 통해 수용되는 감성의 영역을 본격적으로 문제시했다. 계몽주의 미학자들은 ‘상징’을 매개로 하는 인식이 직관적 인식에 비해 판명하지 않기 때문에, ‘상징’을 부정적인 것으로 보았다. 예술도 최대한 직관적으로 인식되는, 즉 자연적 기호로 이루어진 회화를 으뜸으로 여겼다. 분절된 언어로 이루어진 시의 경우, 독자가 분절된 언어 기호를 통합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적이지 못하다고 여겼다. 그러나 계몽주의 미학을 근대 이전의 예술관으로 볼 수 없는 이유는 계몽주의 미학에 이르러 감성론적 전회(the aesthetic turn)가 이루어졌다는 데 있다.
    근대 철학의 한 정점인 칸트는 그의 비판철학 중 『판단력 비판』에서 ‘예술’과 ‘미’를 실천적 도덕성의 반석에 올려놓는다. 미는 ‘도덕성의 상징’이다. 예술의 “상징적 표상 양식은 직관적 표상 양식의 한 종류”로서, 둘은 “모두 감성화”이며, ‘상징’을 매개로 하는 감성적 인식은 직관적 인식에 비해 열등하지 않다. 여기서 그 유명한 칸트의 명제, “내용 없는 사상(事象)은 공허하며,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이다”를 떠올릴 수 있는데, ‘사상’과 ‘개념’을 ‘상징’으로 대치해보면 칸트가 ‘상징’을 긍정적으로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칸트 미학에 이르러 ‘상징’은 미학사에서 자기 위상을 획득한다. 칸트에 의하면 도덕이 자율적이듯 미도 자율적이다. 그리고 이는 ‘상징’의 자율성으로 이어진다. 칸트 미학은 계몽주의 미학에 대한 비판적 계승인 동시에 그것과의 단절이었다.
    헤르더와 모리츠로 대표되는 고전적 미학은 형식(‘상징’)과 내용의 일체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칸트 미학과의 비연속적 측면이면서 계몽주의 미학의 영향이다. 조각상의 아름다움이 조각의 신체에 깃들어 있듯이, 내용은 형식과 일체한다. 언어보다 조각상의 ‘윤곽’에서 진짜 아름다움이 구현된다고 보는 고전적 미학은 응당 고대 그리스의 조각을 미의 이상으로 보았다.
    낭만적 미학은 고대 그리스의 예술을 이상적으로 여겼다는 점에서 고전적 미학을 따르지만, 고전적 예술의 원리가 근대에서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고 여겨 근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예술 원리를 찾고자 했다. 낭만적 미학이 공유하는 것은 근대가 분열의 시대라는 점이다. 그리스의 예술에서는 미와 현실이 일치할 수 있었지만, 근대는 그 일치가 실현될 수 없다. 근대에서 미는 현실이 아니라 가상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미의 가상 세계에서 이 시대의 이념을 드러내는 ‘상징’이 근대의 예술 원리가 될 수 있다. 역설적이게도 이상과 현실이 분열된 근대 세계에서 그것의 재통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미적 가상으로서의 ‘상징’, 즉 예술이다. 저자는 낭만주의가 근대에 속하는 운동이었지만 근대 세계의 속성을 비판했다는 측면에서 낭만주의의 탈근대성을 암시한다. “우리가 아직 어느 정도는 ‘근대’에 속해 있다고 본다면, 낭만주의가 제기한 물음은 결코 과거의 물음이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닥친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차례

    서문
    한국어판 서문

    1장. 계몽주의 미학에서 상징의 문제 
      1. 라이프니츠와 볼프 학파에서 상징의 위치 
    1)상징적 인식의 이점과 결점 2)기호결합법이 추구하는 것
      2. 바움가르텐의 ‘외연적 명석성’ 이론
    1)감성적 표상의 외연적 명석성 2)시에서 상징적 인식의 외연적 명석성
      3. 바움가르텐 학파 미학의 일루전 이론 
    1)멘델스존의 일루전론 2)레싱의 시화詩畵 비교론과 그 배경
    3)레싱의 일루전론 4)바움가르텐 학파 미학의 회화성과 기호론적 기초

    2장. 칸트 미학에서 미의 상징성 
      1. 칸트의 ‘기호’와 ‘상징’ 문제의 배경
    1)『판단력 비판』 이전의 라이프니츠와 볼프 학파의 기호론 비판
    2)가상계可想界와 현상계現象界의 상징적 관계
      2. 『판단력 비판』의 ‘상징’ 이론 
    1)상징의 일반적 메커니즘 2)미와 도덕의 유비
      3. 감성화와 상징 
    1)‘아름다운 것’과 감성화 2)‘숭고한 것’과 감성화
    3)‘미에 대한 지적 관심’과 감성화 4)‘미적 이념’과 감성화
    5)감성화로서 상징의 위치와 방향

    3장. 고전적 미학의 상징이론
      1. 헤르더의 상징이론
    1)『단장』의 시적 언어 이론 2)『비판논총』의 시적 언어 이론
    3)『비판논총』의 알레고리 비판 4)『조소』의 촉각 미학
    5)‘현상–표현’으로서의 상징
      2. 모리츠의 상징이론
    1)『결합 시도』에서 미의 자립성 문제 2)기호의 자립성
    3)예술의 전형으로서의 조각 4)언어의 조형성

    4장. 낭만적 미학의 상징이론 
      1. 실러의 상징 개념
    1)『철학 서간』의 ‘상징’ 개념 2)『칼리아스 서간』의 칸트 수용과 ‘상징’ 개념
    3)‘자연’과 ‘자유’ 개념의 변질 4)고전적 미의 이상성과 그 붕괴
    5)근대 예술의 원리 6)이상의 감성화에서 상징적 조작
    7)‘호소’로서의 상징
      2. 셸링의 ‘상징’과 ‘알레고리’ 문제
    1)『체계』의 상징 문제 2)『예술철학』에서 상징의 정의
    3)역사철학적 구상에서 상징과 알레고리 문제 4)근대의 과제에서 예술의 위치
    5)조각적인 것과 회화적인 것
      3. 헤겔의 ‘상징적–고전적–낭만적’ 예술형식 문제 
    1)‘이상’理想에서 내용과 형태의 일치 2)상징적 예술형식의 지시적 의미 작용
    3)고전적 예술형식의 의미의 자립성 4)고전적 예술형식의 한계
    5)낭만적 예술형식의 회귀적 의미 작용
    6) 조각적인 것, 회화적인 것, 또는 음악적인 것
      4. 고전적 미학과 낭만적 미학

    맺음말

    저자 후기_ 저자 주_ 문헌 주_ 문헌표
    옮긴이의 말_ 찾아보기 

     

    지은이 오타베 다네히사(小田部胤久)

     

    1958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1981년 도쿄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하고, 도쿄대학교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와 함부르크대학교 철학과에서 수학했다. 1988년 고베대학교 문학부 조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도쿄대학교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및 문학부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예술의 역설근대 미학의 성립(藝術逆說近代美學成立, 2001), 예술의 조건근대 미학의 경계(藝術條件近代美學境界, 2006), 서양미학사(西洋美學史, 2009), 기무라 모토모리표현애의 미학(木村素衞表現愛美學, 2010) 등이 있으며, 공편저로는 라틴어 독일어독일어 라틴어 학술어휘사전(羅獨獨羅學術語彙辭典, 1989), 스타일의 시학윤리학과 미학의 교차(スタイルの詩學倫理學美學交叉, 2000), 미적 주관성낭만주의와 근대(Äthetische SubjektivitäRomantik und Moderne, 2005), 교향하는 낭만주의(交響するロマン主義, 2006), 디자인의 온톨로기윤리학과 미학의 교향(デザインのオントロギー倫理學美學交響, 2007), 문화적 동일성과 자기상自己像일본과 독일에서의 계몽과 근대(Kulturelle Identitä und SelbstbildAufkläung und Moderne in Japan und Deutschland, 2011) 등이 있다.

     

    옮긴이 이혜진

     

    도쿄대학교 미학예술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플로리다 애틀랜틱대학교의 리처드 슈스터만 교수가 설립한 , 마음, 문화 센터’(The Center for Body, Mind, and Culture)에서 2009년부터 교환 연구원으로, 2010년부터 아시아 지역 담당 대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신체 미학, 프래그머티즘, 심리철학, 비교미학 등의 주제에 관심이 있으며 퓨전재즈와 서핑을 즐긴다. 몸의 의식(리처드 슈스터만 지음)을 옮기고, 스타일의 미학을 함께 썼다. ppgglee@gmail.com

    목록
    https://170.187.225.108/
    https://139.162.29.153/
    https://139.177.185.150/
    DANASLOT
    https://146.190.83.55/
    https://167.71.198.75/
    https://139.59.116.144/
    https://178.128.91.217/
    https://178.128.112.167/
    https://165.22.62.117/
    slot gacor
    slot deposit pulsa
    rtp live
    situs s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