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소통포럼
- 홈
- 학술활동
- 개념소통포럼
제16차 초기 <<신청년>>에서 전개된 '청년' 담론의 기원과 성격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인문한국 사업(HK) - 동아시아 기본개념의 상호소통 사업
제16차 동아시아 개념소통포럼
제 목 : 초기 <<신청년>>에서 전개된 '청년' 담론의 기원과 성격
일 시 : 2009년 10월 15일(목) 16:00 ~ 18:00
장 소 : 한림과학원 회의실(연암관 2633호)
발 표 : 송인재(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
토 론 : 이보경(강원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발표요지>
중 국에서 <신청년>은 근대정신의 상징이자 새로운 시대를 연 잡지로 평가받아왔다. 당시 <신청년>은 전통 윤 리 비판, 백화문운동, 과학정신 고취 등의 내용으로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다른 한편으로 청년을 제호로 내걸고 청년 을 주요 독자층으로 설정하면서 근대 중국의 '청년' 담론을 주도적으로 형성했다. 이 과정에서 <신청년>은 근대의 새로 운 시대정신과 청년을 긴밀히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발표에서는 우선 <신청년> 창간주체인 천두슈(陳獨秀)의 잡 지 창간 이전까지의 사상적 역사적 행적을 추적하여 <신청년>에서 청년에 주목하고 '청년' 담론을 전개하게 된 계기와 담 론의 기원을 규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청년'에 대한 호명과 성격부여가 왕성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던 발간 초기(1915-1916 년)의 '청년' 담론을 고찰함으로써 <신청년>이 근대와 청년을 연결시키는 양상을 설명할 것이다.
제16차 동아시아 개념소통포럼
제 목 : 초기 <<신청년>>에서 전개된 '청년' 담론의 기원과 성격
일 시 : 2009년 10월 15일(목) 16:00 ~ 18:00
장 소 : 한림과학원 회의실(연암관 2633호)
발 표 : 송인재(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
토 론 : 이보경(강원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발표요지>
중 국에서 <신청년>은 근대정신의 상징이자 새로운 시대를 연 잡지로 평가받아왔다. 당시 <신청년>은 전통 윤 리 비판, 백화문운동, 과학정신 고취 등의 내용으로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다른 한편으로 청년을 제호로 내걸고 청년 을 주요 독자층으로 설정하면서 근대 중국의 '청년' 담론을 주도적으로 형성했다. 이 과정에서 <신청년>은 근대의 새로 운 시대정신과 청년을 긴밀히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발표에서는 우선 <신청년> 창간주체인 천두슈(陳獨秀)의 잡 지 창간 이전까지의 사상적 역사적 행적을 추적하여 <신청년>에서 청년에 주목하고 '청년' 담론을 전개하게 된 계기와 담 론의 기원을 규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청년'에 대한 호명과 성격부여가 왕성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던 발간 초기(1915-1916 년)의 '청년' 담론을 고찰함으로써 <신청년>이 근대와 청년을 연결시키는 양상을 설명할 것이다.
102개(5/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