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소통포럼
- 홈
- 학술활동
- 개념소통포럼
제20차 "서학과 개념, 사유체계의 변화"

<제20차 동아시아 개념소통 포럼>
일 시 : 2010년 2월 11일(목) 15:00~18:00
장 소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회의실(연암관 6층 2633)
<제1발표> : 서학과 개념, 사유체계의 변화
발표자 : 이경구(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토론자 : 김선희(이화여대)
<제2발표> :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발표자 : 황수영(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토론자 : 김성호(고려대)
<발표요지>
<제1발표> : 서학과 개념, 사유체계의 변화
16 세기 예수회가 전한 천주, 영혼, 천당지옥 개념의 소통 양상은 전근대 동서양 문명 대화의 한 전범이다. 따라서 과학과 종교 전파 의 관점 뿐만 아니라 개념과 개념의 작동을 결정하는 사유 체계의 만남이란 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본 발표는 개념 사이의 접근 양식과 사유 체계 속에서의 맥락을 중심으로 그 과정을 추출해 보고 마지막으로 조선의 특징을 고찰한다.
<제2발표> :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철학과 인문학이 결합되어 있던 동양과 달리 서양에서 철학과 인문학의 탄생은 개념 투쟁의 본보기를 보여준다.
고대 그리스에서 철학은 만학의 근본으로 시작되었으나 진리탐구를 자처하며 문학, 역사와 같은 인문학적 탐구를 학의 영역에서 배제한다.
이 개념 투쟁은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기에 각 분야가 대학에 자리잡기까지 계속된다.
근대에 이르러 철학은 자연과학적 탐구와 경쟁하면서 다시 한 번 개념적 위기를 맞는다.
이 현상은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가운데 오늘날 철학은 인문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고 그간의 갈등 상황은 억지 봉합된다.
오늘날 인문학 위기라고 불리는 문제는 그것의 개념적 정체성과 근본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102개(4/6페이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42 |
제42차 "고려 최씨정권의 문집간행과 지원"
![]() ![]() |
관리자 | 2011.06.11 00:00 | 1405 |
41 |
제41차 "현대 중국의 유교논쟁"
![]() ![]() |
관리자 | 2011.05.27 00:00 | 1304 |
40 |
제40차 "홀로코스트에 대하여 말하기"
![]() ![]() |
관리자 | 2011.05.16 00:00 | 1002 |
39 |
제39차 "Green Growth"
![]() ![]() |
관리자 | 2011.05.09 00:00 | 944 |
38 |
제38차 1910년대 칸트 철학의 번역과 수용 : 양건식의 「西哲康德格
![]() ![]() |
관리자 | 2011.04.16 00:00 | 1119 |
37 |
제37차 "단재 신채호와 역사의 발견"
![]() ![]() |
관리자 | 2011.04.11 00:00 | 1106 |
36 |
제36차 "양계초의 민족국가론과 법치헌정"
![]() ![]() |
관리자 | 2011.03.28 00:00 | 960 |
35 |
제35차 "중국에서 근대적 ‘지리학’ 개념의 형성"
![]() ![]() |
관리자 | 2011.03.21 00:00 | 1025 |
34 |
제34차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
![]() ![]() |
관리자 | 2011.03.21 00:00 | 974 |
33 |
제33차 "말뭉치와 개념사 연구"
![]() ![]() |
관리자 | 2011.02.11 00:00 | 930 |
32 |
제32차 “<조선왕조실록>의 실학 용례 검토”와 “토픽맵과 개념지도
![]() ![]() |
관리자 | 2011.02.07 00:00 | 1190 |
31 |
제31차 "고종 재위 전기 군주관 형성에 대한 일고찰"
![]() ![]() |
관리자 | 2011.01.13 00:00 | 1044 |
30 |
제30차 ‘주체’ 개념의 분리와 통합
![]() ![]() |
관리자 | 2010.11.12 00:00 | 986 |
29 |
제29차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의 검색기능 활용 방안
![]() ![]() |
관리자 | 2010.10.26 00:00 | 1517 |
28 |
제28차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과 개념사"
![]() ![]() |
관리자 | 2010.06.29 00:00 | 1058 |
27 |
제27차 근세 일본에서의 '영역', '경계' 개념
![]() ![]() |
관리자 | 2010.06.22 00:00 | 957 |
26 |
제26차 "조선중화주의에 근거한 대외인식"
![]() ![]() |
관리자 | 2010.06.22 00:00 | 1018 |
25 |
제25차 "수용사에서 개념사로"
![]() ![]() |
관리자 | 2010.04.29 00:00 | 942 |
24 |
제24차 장즈둥(張之洞) 중체서용론의 지식 조직도 - <<권학편>>..
![]() ![]() |
관리자 | 2010.04.29 00:00 | 1133 |
23 |
제23차 "개념사 연구를 위한 코세리우스의 구조의미론 개괄"
![]() ![]() |
관리자 | 2010.04.21 00:00 | 930 |